요즘 건조기가 인기가 많습니다. 빨래를 끝내고 건조기 돌리면 뽀송한데다가 잔여 먼지까지 싹 잡아주기 때문에 만족감이 높은데요. 건조기 사용도 필터 청소를 게을리하면 수명이 길지 않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건조기 필터 청소주기와 관리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건조기 기본 구조
필터 종류 | 역할 | 청소 주기 |
---|---|---|
먼지 필터 (린트 필터) | 보풀·먼지 제거 | 매번 건조 후 |
콘덴서 필터 (열교환기) | 열 식히고 습기 순환 | 2~4주 1회 or 알림 뜰 때 |
배수통 / 배수호스 | 응축수 배출 | 3~7일 1회 |
필터별 청소 방법 정리
1. 먼지 필터 (린트 필터)
- 건조기 문 안쪽에 위치한 필터입니다. 건조기 사용 직후 꺼내서 보풀을 제거해주세요.
- 손으로 떼거나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청소할 수 있습니다.
- 물세척은 1~2주에 한 번 해주세요. 완전히 말려야 재장착이 가능합니다.
- 안 하면 건조시간이 증가하고 냄새가 나는 데다가 전기세도 올라갑니다.
2. 콘덴서 필터 (열교환기)
- 기기 하단 덮개를 열면 내부에 위치한 필터가 콘덴서 필터입니다.
- 브러시, 청소기, 물티슈 등으로 먼지를 제거해야 합니다.
- 셀프세척 모델도 먼지는 직접 닦아줘야 합니다.
- 안 하면 열 순환이 잘 안되서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고장을 유발합니다.
3. 배수통 / 배수호스
- 배수통형: 물통은 1~2회 사용 후 비우기
- 배수호스형: 이물질 확인은 2~4주에 한 번
- 안 하면 물이 넘치고 악취가 나는 데다가 건조 효율도 저하됩니다.
건조기 냄새 & 수명 관리 팁
- 건조기 문은 사용 후 열어두기
- 1~2주에 한 번 통 내부 물티슈 or 통살균 코스 돌리기
- 문 고무패킹 틈도 주기적으로 닦기 (곰팡이 주의)
- 건조기용 섬유유연 시트 과다 사용 금지 (필터 막힘 원인)
자주 묻는 질문 (FAQ)
- Q. 필터 알림 안 뜨면 청소 안 해도 되나요? → 아닙니다. 알림은 보조일 뿐이고 눈으로 보고 먼지 있으면 바로 청소해야 합니다.
- Q. 건조기에서 세제 찌든 냄새 나는데 이유는 뭔가요? → 내부 습기 + 필터 곰팡이 + 먼지 누적 때문입니다. 열풍살균 코스 돌리고 필터를 전부 청소해야 합니다.
- Q. 브러시 없이 청소해도 괜찮나요? → 손으론 안 닦이는 미세먼지가 있습니다. 이는 가전청소 전용 브러시(5천~1만원대)를 추천합니다.
마무리
관리 항목 | 권장 주기 | 청소 안 하면? |
---|---|---|
먼지 필터 | 매번 건조 후 | 건조력↓, 냄새, 전기세↑ |
콘덴서 필터 | 2~4주 1회 | 고장률↑, 시간↑ |
배수통/호스 | 3~7일 1회 | 물 넘침, 악취 |
내부/고무패킹 | 1~2주 1회 닦기 | 곰팡이, 냄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