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첫시험 망하는 학생 특징 3가지

고등학교 첫시험 망치는 학생 특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등학교에서 갑자기 성적이 무너지는 아이들의 특징 3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문제풀이만 하는 학생

먼저 문제만 무조건 많이 풀어보는 문제풀이 머신형 학생들이 있습니다. 이 유형은 초등, 중등 시절 문제집 3권 이상 돌려봤던 아이들에서 많이 나옵니다. 창의 수학, 사고력 수학 줄줄이 학원 보내고, 유형별 문제집 3단 콤보는 기본. 처음에는 잘 풀어요. ‘봤던 문제’니까요. 그런데 고등학교 와서 문제 맥락이 조금만 바뀌어도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어? 이거 푼 적 있는데… 왜 이렇게 어렵지?” 이런 아이들은 교과서 문제 숫자만 바꿔도 틀립니다. 수학 선생님들이 제일 걱정하는 아이들이죠.

  • ‘왜’ 그렇게 되는지를 생각하지 않음
  • ‘정의’나 개념의 출발점을 이해하지 않음
  • 문제만 빠르게 푸는 데에 익숙함

결국 문제 풀이 스킬은 많은데, 사고력 기반 문제가 나오면 쉽게 무너집니다.

무조건 암기만 하는 학생

중학교까지는 외우면 다 되는 과목이 많았습니다. 사회, 과학, 역사, 국어 개념까지 그냥 통째로 외우고 시험 치르면 됐죠. 하지만 고등학교에 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 이해 기반 문제 많아짐
  • 암기한 내용을 ‘활용’해야 하는 문제로 전환
  • 질문에 맥락이 붙음 → 이해 없이는 접근 자체가 안 됨

단순 암기형 아이들은 여기서 무너지는 속도가 빠릅니다. 특히 수학 공식을 그냥 외운 학생들은 공식의 의미나 적용법을 몰라요. 선생님이 물어보죠. “이 공식, 왜 이렇게 쓰는지 설명해 봐.” 그런데 대답 못합니다. 그냥 외웠을 뿐이니까요.

그냥 열심히 하는 학생

이건 진짜 충격적인 유형입니다. 누가 봐도 착하고, 말 잘 듣고, 열심히 하는 학생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왜 해야 하는지’를 모른다는 점입니다. 그냥 시키니까 합니다. 시킨 건 열심히 합니다. 하지만 스스로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공부의 방향성도 모르고, 계획도 짜지 못하고, 컨설팅만 기다립니다. 요즘 아이들, 너무 순합니다. 선생님이 수행평가 하라고 하면 그냥 조용히 하고, 시간 안 됐는데도 그냥 냅니다. 예전처럼 “선생님, 시간 조금만 더 주세요!” 이런 말도 잘 안 합니다. 질문도 안 하고 자란 아이들이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 어릴 때부터 실패할 기회를 안 줌
  • 계획, 선택, 판단을 스스로 못 하게 키움

결과적으로 판단력 부족, 무비판적 수용, 방향 감각 없음. 고등학교에서는 수많은 선택의 순간이 오는데, 이 아이들은 그 순간들을 놓칩니다.

대처방법

고등학교에서 무너지는 아이들의 공통점은 “생각 안 하고 공부만 했던 아이들”입니다. 공부 방향 없이 그냥 푸는 아이, 왜 하는지도 모르고 외우는 아이, 계획 없이 시키는 것만 하는 아이. 이 세 유형은 초중학교 땐 잘 나가도, 고등학교 와서 와르르 무너집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문제를 풀기 전에 먼저 “이건 왜 배울까?” 생각하게 하기
  • 공식을 외우게 하지 말고, 아이 입으로 설명하게 시켜보기
  • 학습 계획, 시험 전략을 아이와 함께 짜보기
  • 실패하더라도 스스로 결정하는 경험을 주기

아이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적어도 “말 잘 듣고 성실하니까 괜찮겠지”는 이제 통하지 않습니다.

마무리

고등학교 첫 시험은 그동안의 공부 습관이 드디어 결과로 나타나는 시점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생각하고, 설명하고, 결정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반항? 괜찮습니다. 질문하고, 의심하고, 도전하는 아이가 결국엔 입시도 이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