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아이가 아빠를 피하거나 안놀아줄 때 어떻게 자연스럽게 친해질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가 아빠를 피하는 이유
먼저 아이가 왜 아빠를 피하는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단순히 엄마보다 아빠를 익숙하지 않게 여기기 때문이지, 특별히 아빠를 싫어하는 것은 아니랍니다.
일반적인 원인들
- 평일에 늦게 들어와서 엄마보다 아이와 함께 지내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하면 이런 일이 발생합니다.
- 아빠는 아이와 놀아줄 때 엄마보다 거칠기 때문에 이런 것을 아이가 부담스러워할 수도 있습니다.
- 엄마와 떨어지는 것 자체가 싫은 아이들은 엄마가 아닌 아빠랑 지내는 것을 꺼려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아빠를 피하는 것은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서두르지 말고 꾸준히 관심과 사랑을 보여주면 반드시 마음을 열게 됩니다.
아이와 친해지는 실전 방법들
1)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접근하기
갑작스럽게 놀자고 하기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함께할 수 있는 순간들을 만들어보세요. 작은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 아침 인사: “안녕히 주무셨어요, 공주님” 같은 특별한 인사말로 하루를 시작해보세요.
- 간식 함께 먹기: “아빠랑 과자 나눠 먹을래?” 하며 자연스럽게 접근해야 합니다.
- TV 함께 보기: 아이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을 옆에서 함께 시청하면서 같이 있는 시간을 늘려보세요.
- 잠자리 책 읽기: 엄마가 바쁠 때 “아빠가 책 읽어줄까?” 제안해보세요. 처음엔 거절해도 상처받지 마세요.
2) 아이의 관심사에 맞춘 놀이하기
아빠가 하고 싶은 놀이보다는 아이가 좋아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아이의 세계에 먼저 들어가는 것이 중요해요.
- 인형놀이: “아빠도 인형놀이 배우고 싶어” 하며 자연스럽게 접근하세요.
- 그림그리기: 함께 크레용으로 그림 그리며 대화 나누는 것도 친해지는 좋은 방법입니다.
- 블록 만들기: “아빠랑 같이 높은 탑 만들어볼까?” 제안하면서 다가가세요.
- 역할놀이: 아이가 선생님, 아빠가 학생이 되어 놀아주는 것도 좋습니다.
아빠만의 특별한 시간 만들기
주말 특별 활동
주말을 이용해서 아빠와 아이만의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보세요. 정기적인 아빠와의 시간이 생기면 아이도 기대하게 됩니다.
- 아침 산책: “아빠랑 동네 한 바퀴 돌면서 새 구경할까?” 하면서 같이 산책하세요
- 요리 함께하기: 간단한 샌드위치나 과일 썰기 등을 아이와 함께 해보세요.
- 놀이터 가기: “아빠가 그네 밀어줄게” 하며 아이와 눈맞추고 신나게 놀아주세요.
- 편의점 나들이: “아빠랑 아이스크림 사러 갈까?” 하면서 가벼운 외출을 나가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의 말에 귀 기울이기
아이와의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진심으로 들어주는 것입니다. 아무리 사소한 이야기라도 아빠가 관심 있게 들어주면 아이는 마음을 열게 됩니다.
- 눈높이 맞추기: 아이와 대화할 때는 눈을 맞추고 온전히 집중해주세요.
- 리액션 크게: “정말? 그랬구나!” 하며 과장된 반응 보여주세요. 아이가 좋아합니다.
- 질문하기: “그래서 어떻게 됐어?” “기분이 어땠어?” 궁금해하면 아이가 신나서 이야기보따리를 풉니다.
- 공감하기: “아빠도 그럴 때 있어” 하며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주세요. 이부분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은데 중요합니다.
아이가 거부할 때 억지로 하려고 하지 마세요. “아빠 마음 아프다” 같은 말로 죄책감을 주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아이의 거부도 하나의 표현으로 받아들이고 기다려주세요.
장기적인 관계 개선 전략
1) 꾸준함이 핵심
하루아침에 관계가 개선되지는 않아요. 매일 조금씩이라도 아이와 소통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야 합니다.
- 매일 인사: 출근할 때와 퇴근했을 때 꼭 아이와 꼭 이야기 나누고 인사하세요.
- 짧은 대화: “오늘 뭐 했어?” “재미있었어?” 간단한 질문이라도 꾸준히 시도해야 합니다.
- 스킨십: 머리 쓰다듬기, 등 토닥이기 등이 자연스러워질 때까지 스킨십해주세요.
- 약속 지키기: “나중에 놀아줄게” 했으면 반드시 그걸 지켜줘야 합니다.
2) 엄마와의 협력
엄마의 도움을 받는 것도 중요한 전략입니다. 가족 모두가 함께 노력할 때 더 빠른 변화를 만들 수 있어요.
- 엄마의 격려: “아빠가 많이 사랑한대” 같은 말로 아빠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심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 역할 분담: 아빠만의 고유한 역할(목욕시키기, 책 읽어주기 등) 만드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 가족 시간: 셋이 함께하는 시간에서 자연스럽게 아빠와의 접촉 늘리세요.
- 정보 공유: 아이가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등 정보 공유해야 아빠가 실수를 안합니다.
마치며
아이와의 관계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사랑을 표현하다 보면 어느 순간 아이가 먼저 “아빠”하고 달려올 날이 올 거예요. 지금 당장 아이가 아빠를 피한다고 해서 좌절하지 마시고, 오늘부터 작은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기억하세요! 아이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아빠의 진심 어린 관심과 사랑입니다. 완벽한 아빠가 되려 하지 말고, 아이와 함께 성장하는 아빠가 되어보세요. 여러분의 노력이 아이에게 평생의 좋은 추억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