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회생활하면서 상속세와 증여세 개념은 재산을 이전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속세와 증여세의 기본 개념
- 상속세는 사망으로 인해 재산이 이전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 증여세는 살아있는 동안 무상으로 재산을 넘겨줄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 둘 다 재산의 무상 이전에 대한 세금이지만 시점과 조건이 다르죠?
상속세는 사후 세금이고, 증여세는 생전 세금이라고 기억하면 쉽습니다.
세금 부과 시점과 대상
1) 상속세 부과 대상
- 사망으로 인해 재산이 이전됩니다.
- 유언에 의한 재산 분배가 이루어집니다.
- 법정상속에 의한 재산 취득입니다.
- 사망 전 3년 이내 증여재산이 상속세로 합산됩니다.
2) 증여세 부과 대상
- 생전 무상 재산이 이전됩니다.
- 시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재산 매매한 경우 증여 의제로 보고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 채무 면제나 변제도 부과대상입니다.
- 금전 대여에는 이자가 면제됩니다.
신고·납부 절차와 기한
신고 기한과 절차
📅 상속세 신고
- 신고기한: 상속개시일부터 6개월 이내
- 납부기한: 신고기한과 동일
- 연부연납: 2천만원 초과 시 5년간 분할납부 가능
- 물납: 금전납부 곤란 시 부동산 등으로 납부
📅 증여세 신고
- 신고기한: 증여받은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 납부기한: 신고기한과 동일
- 연부연납: 1천만원 초과 시 5년간 분할납부 가능
- 신고의무: 공제한도 초과 시 반드시 신고
상속세는 사후 세금, 증여세는 생전 세금! 장기적 계획과 전문가 상담을 통해 합법적으로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세요.